x

사이트맵

사진 목록
사진
 >  게시판 >  사진
목록
노인인권활동가 자조모임 <세대공감> - 노인무임승차
17-08-30 13:28 2,827회 0건

 노인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에 대해 이슈 당사자인 노인세대의 생각을 확인하고자 합니다. 

앞으로 노인의 생각을 공유하여, 2/3세대들이 잘 모르고 있는

노인세대의 생각을 알리고 이를 통해 각 세대 간에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첫번째 이슈는 \"노인 무임승차\"입니다. 

인권활동가로 활동하고 있는 노인세대 25명에게 물었습니다. 


      최근 지하철 무임승차에 따른 사회적 이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위 질문 전 노인무임승차와 관련한 뉴스를 함께 시청하였습니다.

- tbs뉴스 신분당선 노인요금받겠다” ... 무임승차 폐지 논란 

http://tv.naver.com/v/1937882 

- jtbc 팩트체크 노인 무임승차가 지하철 적자 주 원인? 

http://tv.naver.com/v/1792867

 

 활동가들의 의견은 크게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습니다.

 1. 70세 이상에게만 지하철 무료 승차를 허용하자.(13명)

 2. 75세 이상에게만 지하철 무료 승차를 허용하자.(4명)

 3. 이용요금에 대해 전액은 어렵지만, 일정 비용은 지불하겠다.(3명)

 4. 노인무임승차는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1명)

 5. 소득에 비례하여 이용금액이 지출되었으면 한다.

 6. 개인별로 월 일정액을 교통비로 지급했으면 한다.

 7. 출 퇴근 시간 등 복잡한 시간 이용시에는 금액을 내도록 한다. 

 5~7번 의견은 기타 의견으로 제시되었으며, 의견 취합에 참여 하지 않은 어르신은 4명이었습니다.


노인 세대라면 4번에 대한 의견이 가장 많을 것이라는 일부 사회적 선입견이

빗나간 의견 결과라고 보입니다.

가장 많은 의견이 제시된 70세 이상 지하철 무료 승차와 75세 이상 무료 승차의 경우

해당사항 채택시 무료 승차에서 제외되는 노인연령세대에게

금액 지출에 대한 의견을 재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구간에 위치한 인권활동가들이 많지 않아 전체적 의견으로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금액 발생에 대해 50:50의 입장을 보였습니다.


 이번 의견공유를 통해 확인한 점은 노인세대 대부분이 노인인구수 증가에 따른

노인복지 지출에 대한 국가 및 지자체의 지출증가에 대한 우려를 보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만, 2/3세대들이 노인세대들에게 지출되는 노인복지 비용에 대해 선입견을 보이지 않기를 희망하였습니다.

노인세대는 수동적 사회구성원이 아닌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아주기를 바랬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  회원가입

소하노인종합복지관
주소 : :경기도 광명시 소하로25(구 소하1동 1291번지)
E-mail : gmsenior@naver.com

Copyright©소하노인종합복지관 All right reserved.
Designed by MIR